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watermarks
- covariant
- java
- Perfect Watermarks
- flink
- Generic
- 가변성
- lambda
- Coroutine
- HDFS
- flink watermark
- Generics
- contravariant
- Hadoop
- watermark
- event time
- processing time
- flink watermarks
- apache flink
- ingestion time
- Perfect Watermark
- Heuristic Watermark
- 불공변
- Heuristic Watermarks
- Stream
- coroutines
- 공변
- kotlin
- MapReduce
- Today
- Total
목록개발/Spring (3)
mm Home
Spring 5 features리액티브 프로그래밍 모델어노테이션 기반 MVC + 함수형 MVC 같이 지원. 기존의 어노테이션 기반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함수형으로 MVC 설정을 할 수도 있다.간단하게 설정을 어떻게 하는지 방법만 봐보자. 다음 글에서 web-flux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겠다.라우터를 통해 request를 적절한 핸들러에 라우팅한다.핸들러가 컨트롤러가 된다.아래와 RouterFunction을 설정해서 스프링의 Bean으로 생성한다면 DispatcherHandler 에서 관련 빈들을 다 불러들여서 해당 Handler로 라우팅한다.public class BookHandler { public Mono listBooks(ServerRequest request) { return ServerRes..
스프링 MVC는 어떻게 작동하는가? 스프링 MVC 프레임워크는 Model-View-Controller 아키텍쳐를 제공해주고, 쉽고 유연한 개발을 하도록 지원해준다. 스프링 MVC에서 가장 큰 주체는 DispatcherServlet이다. DispatcherServlet은 Java EE의 Servlet을 래핑한 클래스이다. 컨트롤러의 컨트롤러 같은 느낌으로 개발을 아주 편리하게 하게 해준다. Request를 올바른 처리 핸들러에 위임하는 것부터 Model과 View 처리, Controller 매핑 등.. 다양한 기능을 지원해준다. 이미지 : https://docs.spring.io/spring/docs/3.0.0.M4/reference/html/ch15s02.html 'Front controller' 라고 ..
대학생때 서블릿으로 개발을 하다가, 입사 이후 스프링을 처음 사용할 때 신기했다. 어떻게 동작하는지 궁금하지 않은가?? 스프링 부트를 사용하면서부터는 component scan 도 관습에 의해 설정할 필요도 없으니 스프링 부트만 사용해본 개발자는 스프링 내부를 더 알기 어렵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어노테이션 기반의 개발 과정이 편리하지만 그 내부를 들여다보기 어려운 점이 있었는데 이번 달에 릴리즈될 스프링 5에서는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는 개발을 할 수 있다고 하니 좀 더 내부를 이해하기 쉬울것 같다는 생각도 들었다.예전에 스프링을 공부하면서 context와 mvc쪽을 살짝 공부한적이 있었는데 정리해본다.깊이있게 좀 파악하고 싶은데.. 언제나 깊이있는 공부는 어려운것 같다. 어떻게 component..